행자부가 최근 나돌고 있는 ‘일반행정직, 사회복지직으로의 전환’설과 관련해 적극 해명하고 나섰다.
최근 언론에서는 “행자부가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을 추진하면서 읍면동사무소에 근무하는 일반행정직의 일부를 사회복지직으로 전환시킨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라고 연일보도하면서 수험가는 물론 사회전체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행자부는 "전환의 의미는 전직이 아닌 단순히 복지 업무 등의 행정 내부적인 업무를 수행토록 하려는 것."이라고 최근 언론들의 보도내용에 적극 반발했다.
행자부는 “현재 읍면동 사무소의 사회복지직 공무원이 과중한 업무부담으로 인해 심층상담 등 본연의 현장성ㆍ대면성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고, 복지관련 제증명 발급 등 내부 행정업무에 치중하고 있다.”라며 “이 같은 현실을 감안하여 읍면동사무소의 일반행정인력의 일부를 주민생활지원업무로 배치하여 복지업무 등의 행정 내부적인 업무를 수행토록 하고, 대신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본연의 임무인 찾아가는 서비스를 수행토록 한다는 것이 이번 계획의 중점적인 사항.”이라고 언급했다.
행자부는 “즉 행정직 인력은 내부 복지관련 행정업무에, 사회복지직은 외부적인 현장업무에 중점을 두면서 운영해 나가는 것인데, 최근 언론들이 전환의 의미를 전직이라는 측면에서 보도하고 있어, 사회복지직 공무원과 수험생들의 사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참고로 행정자치부는 지역주민에게 원 스톱 맞춤형 통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을 추진하고 있으며, 1단계 사업으로 금년 7월 1일부터 534개 시군구 및 859개 읍면동 사무소를 우선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이 같은 행자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일선 지자체와 각 공무원단체, 사회복지 단체 등은 행자부의 이런 방침이 사회복지의 전문성을 더욱 떨어트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적극 반발하고 있다.
공무원 단체의 한 관계자는 “행정직의 인원을 아무리 끌어 쓰더라도 언젠가는 구멍이 생기게 돼있다.”라며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사회복지 공무원의 증원이 우선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사회복지 단체의 한 관계자는 “사회복지의 모든 분야가 전문성을 갖춰야 하는 것인데, 행자부에서는 단순히 사회복지와 행정직의 행정업무를 비슷한 분야로 보고 있다.”라며 “참여정부가 출범 후 1만 4천 여 명의 사회복지직 공무원을 충원하기로 하는 등 복지사회의 구현을 주장해 놓고, 이제 와서 엉뚱한 방향으로 방안을 내놓고 있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