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금액


홈으로 공무원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수상내역&쿠폰다운 합격수기
수험뉴스
제목 “상사의 위법한 명령, 당당히 거부하세요”
등록일 2017-11-21
첨부파일

 

15일 인사처 ‘국가공무원법’ 개정안 입법예고
정영운 기자 jyw@psnews.co.kr
 
 
공무원이 상관의 명백히 위법한 지시·명령을 거부하고 소신 있게 일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법률적 근거가 마련된다. 이와 함께 소청심사위원회에서 공무원의 파면·해임 등 중징계 처분을 취소·변경하려면 출석위원 3분의 2 이상 합의가 필요하도록 의결 정족수도 늘어난다.
 
인사혁신처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국가공무원법’ 개정안을 15일 입법예고한다고 14일 밝혔다.
 
개정안은 우선 공무원이 상관의 명백히 위법한 지시·명령에 복종하지 않고 이의를 제기하거나 이행을 거부해도 인사상 불이익이나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한 이행 거부로 부당한 인사조치 등을 받으면 소청심사 외에도 고충상담 또는 고충심사를 청구해 구제받을 수 있게 했다. 인사처는 고충심사를 청구한 경우에는 반드시 민간위원이 포함된 ‘고충심사위원회’에 상정해 공정한 심사가 이뤄지게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인사행정의 공정성과 투명성 강화를 위해 공무원 채용·승진 등 위법·부당한 인사운영 행태를 알게 될 경우 누구든지 인사처에 제보할 수 있고 제보자에게 불이익을 주지 못하도록 하는 법률적인 근거도 마련됐다. 제보가 접수될 경우 인사처장은 이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징계요구 등 적절한 시정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사감사 결과 발견된 위법·부당한 인사관리의 중대한 원인이 기관장 등에 있을 경우 인사처장이 임명 및 임명제청을 관장하는 기관에 관련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일부에서 ‘봐 주기 심사’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공무원 징계·소청사건의 심사절차도 강화된다.
 
인사처는 중앙행정기관에 설치된 보통징계위원회에서 의결한 처분에 대한 재심사는 국무총리 소속의 중앙징계위원회가 관할하도록 하고 파면·해임 등 중징계 처분을 취소·변경하는 경우 의결 정족수를 현행 ‘출석위원 과반수’에서 ‘출석위원 3분의 2 이상’으로 높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평등원칙을 공무원 임용 시에도 적용해 공직 내에서 성별·종교·사회적 신분 등을 이유로 불합리한 차별을 받지 않도록 했으며, 잔여임기가 6개월 이상 남아야만 육아휴직을 쓸 수 있었던 임기제공무원에 대한 제한규정도 폐지됐다.
 
김판석 인사처장은 “공무원이 인사상 불이익 등이 두려워 위법한 지시임을 알면서도 따르는 것은 해당 공무원 개인은 물론 국가발전에도 저해된다고 생각한다”며 ”소신있게 일하는 공무원을 적극적으로 보호해 ‘공무원다운 공무원’이 되도록 하고 국민 눈높이에 부합되는 정의로운 공직사회를 구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공무원저널>
 
  • (주)에듀피디

    사업자정보
  • 대표이사 : 김천엽
  • CPO : 김인호
  • 본사&촬영 : 서울 종로구 대학로 45 임호빌딩 3층
  • 관리&배송 : 서울 종로구 대학로 45 임호빌딩 2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17337
  • 법인등록번호 : 110111-3292680
  • 통신판매업신고 : 종로제 2005-2850호 
  • 출판사등록번호 : 제 300-2005-146호
  • 부가통신사업번호 : 018051
  • 원격평생교육시설 : 제원격-84호
  • 웹호스팅서비스제공자 : ㈜한비로
  • 고객센터 : 1600 - 6690 
  • 팩 스 : 02-747-3113
  • 이메일 : webmaster@edupd.com



ⓒEDUPD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