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블라인드 + 지역할당제’에 수험가 “또 다른 역차별”
남미래 기자 future@psnews.co.kr
문재인 정부가 하반기부터 공공부문에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하고 지역인재 할당제를 실시할 계획임을 밝히면서 수험생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일부 수험생의 경우 지역 간 불균형 해소와 공정한 채용의 장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찬성 의사를 밝히기도 했지만, 실력에 따른 선발이 아닌, ‘지역’이라는 일률적인 기준으로 인재를 채용한다는 점에서 또 다른 역차별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달 22일 문재인 대통령은 수석보좌관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올해 하반기부터 공무원이나 공공부문에서 추가 채용 시 블라인드 채용제를 실시했으면 한다"며 "명문대나 일반대 출신이나, 서울에 있는 대학이나 지방대 출신이나 똑같은 조건과 출발선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게 이번 하반기부터 당장 시행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공공기관에 따라 지역인재 채용이 20%대를 넘어선 곳도 있고, 어떤 곳은 10%도 안될 정도로 지역별 편차가 심하다”고 지적하면서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할당제를 30%선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기준을 세우고 실시할 것을 독려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 일부 수험생들은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일반행정직 수험생 박모(26)씨는 “어차피 공무원 면접의 경우 필기시험 성적까지 공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면접 전형을 치르기 때문에 블라인드 전형으로 실시되고 있어 크게 와닿지는 않는다”면서도 “공공기관까지 블라인드 채용이 확대된다면 보다 많은 구직자들이 공공기관에 취업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라며 찬성 의사를 밝혔다.
세무직을 준비 중인 수험생 정모(31)씨는 “구직자들이 공시에 몰리는 이유는 물론 안정적인 처우와 근무환경 때문이기도 하지만, 고학력과 자격증 등 고스펙이 아니면 서류도 내밀기 어려운 채용시장의 현실 때문인 것도 있다”면서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민간 부문에까지 탈스펙 채용이 활발히 이뤄지면 공시 쏠림 현상도 다소 해소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라고 전했다.
이와 달리 블라인드 채용과 지역인재 할당제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수험생들도 상당수다.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공무원 수험생 서모(33)씨는 “단지 특정 지역의 학교를 나왔다는 이유만으로 학교 추천을 받아서 취업한다는 것은 또 다른 역차별”이라며 불만을 나타냈다.
현재 인사혁신처는 지역인재 7급의 경우 학사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각종 학교의 장이 우수한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를 추천하면 서류 및 필기시험과 면접전형을 통해 합격자를 선발해오고 있다.
관세직을 준비 중인 수험생 유모(25)씨는 “지역인재 채용할당제를 확대 실시할 경우 학과 성적을 잘 받기 위해 또 다른 인맥이 동원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가장 공정한 것은 학연이나 지연이 아닌, 실력에 따라 제대로 평가받는 채용 시스템”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공무원저널>
|